불(佛)이란 범어(梵語)이며, 이것을 중국에서는 각성(覺性)이라고 하는데
부처란 신령스런 깨달음이라,
근기에 응하고 사물을 접촉하며,
눈썹을 치켜 올리거나 눈을 껌벅거리며 손을 움직이고 발을 옮기는 것 등이 모두 자기의 신령스레 깨닫는 성품이니라.
성품이 곧 마음이요, 마음이 곧 부처이며, 부처가 곧 도요, 도가 바로 선(禪)이니 선(禪)이라는 한 글자는 범부가 헤아릴 바 아니니라.
또 이르되,
“근본 성품을 보는 것이 선(禪)이라” 하셨으니,
근본 성품을 보지 못하였으면 선(禪)이 아니니라. 설사 천경만론(千經萬論)을 강설하더라도 본성(本性)을 보지 못하였으면 범부일 뿐 불법(佛法)은 아니니라.
지극한 도는 그윽하고 깊어서 말로는 미칠 수 없나니, 경전의 가르침으로 어찌 미칠 수 있으리요?
근본 성품을 보기만 한다면 한 글자를 모를지라도 좋으니라.
성품을 보면 곧 부처라,
성스러운 본체는 본래 청정하여 물드는 법이 없느니라.
있는 바 말씀이 모두 성인의 마음으로부터
일어난 작용이니 작용(用)의 바탕(體)이 본래 공하여
명칭이나 말로는 미칠 수 없거늘
12부경이 어찌 미칠 수 있으리요?
도는 본래 뚜렷이 이루어졌나니,
닦고 증득하는 일이 필요치 않고
도는 소리나 빛이 아니어서 미묘하여 보기 어려우니,
사람이 물을 마시매 차고 더운 것을 스스로 아는 것과 같으니라.
또 남을 향해 말하지 말지어다. 오직 여래만이 알 수 있고, 그 밖의 인간이나 하늘 등의 무리들은 도무지 깨달아 알지 못하리라. 범부는 그 지혜가 미치지 못하므로 겉모습에만 집착하나니, 자기의 마음이 본래 공적한 줄을 알지 못하고 망녕되게 겉모양과 온갖 법이란 것에 집착하면 곧 외도의 무리로 떨어지리라.
모든 법이 마음으로 쫓아 생긴 것임을 알면
집착이 있을 수 없으리니, 집착한 즉 알지 못하리라.
만일 근본 성품을 보았다면
12부경이 모두 부질없는 문자니라.
천경만론(千經萬論)이
오직 마음을 밝히고자 했을 뿐이니,
말끝에 계합해 알면 교법(敎法)이 무슨 쓸모가 있으리요?
지극한 진리는 말을 떠났고,
교법은 말씀일 뿐이니 진실로 도가 아니니라.
도는 본래 말이 없는 것이라,
말이란 허망한 것이니라.
꿈에 누각이나 궁전이나 상마(象馬)의 무리나
나무, 숲, 못, 정자 등의 모습을 보더라도
잠깐만이나마 기꺼이 집착할 생각을 내지 말지니
모두 망념이 의탁해서 생긴 것이니라.
부디 주의할지니라.
임종할 때에 전혀 형상을 취하지 않으면
곧 의혹을 제하려니와 털끝만큼의 망념이라도 일으키면 곧 마구니 경계에 끄달리게 되리라.
법신은 본래 청정하여 수용해 느낄 것(受)이 없건만 미혹한 까닭에 알지도 깨닫지도 못하나니
망녕되이 업보를 받는 까닭에
집착하여 기꺼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느니라.
지금이라도
본래의 몸과 본래의 마음을 깨닫기만 하면
곧 습성에 물들지 않으리라.
성인의 경지에서 범부의 경지에 들어가서
가지가지 잡된 모습으로 나타내 보이는 것은
본래 중생을 위한 까닭이니,
성인은 역·순(逆順: 경계)에 자재하여
온갖 업도 그를 구속하지는 못하리라.
성인의 지위를 이룬 지 오래되어 큰 위덕이 있나니
온갖 종류의 업이 성인의 지휘를 받아 움직이기 때문에
천당과 지옥도 그(성인)를 어쩌지 못하리라.
범부는 어두워 성인처럼 안팎이 밝지 못하니,
만일 의심이 있더라도 조작해 일으키지 말라.
조작한 즉
생사의 바다에 떠돌아 헤매면서 후회하더라도
구제받을 길이 없으리라.
달마대사 혈맥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