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문禪門

편견

어떻게 편견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도덕관념이 생기면 그에 따르는 도덕적 행위가 생겨나고, 결혼이라는 관념이 생긴 뒤에 결혼이 생겨난다. 또 어떤 가치관이 생기면, 그에 따른 선택이 생겨난다. 

 

관념이 인간의 행위를 지배한다. 

 

편협한 행동은 편협한 관념에서 나오고, 악한 행동은 악한 관념에서 나온다. 그러므로 편협한 행동을 고치고 싶다면 먼저 갖가지 편견을 없애야 하고, 악한 행동을 고치려면 먼저 악한 관념을 버려야 한다.

  

관념상의 문제 중 가장 흔한 것은 편견이다. 

 

대부분은 편견 속에 살면서도 그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대부분의 사회적인 문제들과 거의 모든 개인적인 문제들은 편견에서 나온다.

  

편견이란 무엇인가? 한쪽으로 치우친 견해이며, 고정관념이라고도 부른다. 

 

편견이 때로는 적대감을 의미하기도 한다. 미국 심리학자 엘리엇 애런슨(Elliot Aronson)은 편견을 

 

“사람들이 잘못된 또는 불완전한 정보를 개괄적으로 종합해 만들어 낸, 특정 집단에 대한 적대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라고 정의했다.

   

편견의 반대말은 정견(正見)이다. 

다른 말로는 이치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올바른 관념을 가진 사람은 이치를 아는 사람이다. 이치를 아는 것은 물질적인 지원보다 더 중요하다.

  

거지에게 돈을 주면 하루 혹은 며칠간 끼니를 해결해 줄 수 있겠지만, 돈이 다 떨어지면 거지는 또 길거리로 나와 구걸을 할 것이다. 

 

하지만 그에게 돈을 벌 수 있는 기술이나 재주, 새로운 인생관을 알려 준다면, 그의 인생을 완전히 바꿔 놓을 수 있다.

 

빈곤 지역을 도와주는 일도 마찬가지다. 물론 물질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춥고 배고픈 사람에게 제일 먼저 필요한 것은 물질적 지원이다. 

 

하지만 물질적 지원만으로는 빈곤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없다. 빈곤 문제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을 통해 빈곤 지역 사람들의 관념과 사고방식을 바꾸어 주면 새로운 관념과 사고방식이 그들의 운명을 바꿔 줄 수 있다.

  

한 미국 학자가 인도에 가서 직접 조사한 결과, 텔레비전이 인도의 가난한 농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했다. 텔레비전의 선명한 화면이 그들에게 또 다른 세상과 도시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을 심어 주었고, 많은 젊은이들이 텔레비전의 영향으로 농촌을 떠나 도시로 가서 다른 세상을 찾기 시작한 것이다.

   

부처는 금강경의 대략적인 가르침을 이야기해 준 뒤, 수보리에게 이 불경이 헤아릴 수 없이 큰 공덕을 품고 있으며, 

 

보리심을 지닌 사람들과 최종적인 해탈을 원하는 이들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불경을 다 읽고 그 가르침을 받아들인 후 남들에게 풀어 설명해 준다면, 불가사의한 공덕을 얻게 될 것이라고 했다.

  

부처는 아무리 많은 보물을 보시하고 받는 복덕도 금강경을 읽고 이해하고 남들에게 설명해 줌으로써 얻는 복덕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고 여러 번 강조했다.

   

“어떤 보살이 헤아릴 수 없이 넓은 이 세상을 일곱 가지 보석으로 가득 채우는 보시를 했다. 하지만 선남자와 선여인이 완전한 해탈을 구하는 마음으로 이 경전을 지니고 읽고 남에게 쉽게 풀어 이야기해 준다면, 설령 그중 사구게(四句偈, 핵심 내용을 집약해서 네 글귀로 읊은 게송)만이라도 그렇게 한다면, 앞의 보살보다 훨씬 큰 복덕을 얻을 것이다.”

   

부처는 금강경이 불가사의한 공덕을 품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강경이라는 불경 자체가 신통한 힘을 가지고 있어서 곁에 두거나 읊는 것만으로도 화를 피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니다.

 

부처의 말은 금강경에 담겨 있는 도리가 편견을 고치고 정견을 확립해 주며, 그 정견으로 인해 불가사의한 힘을 낼 수 있다는 뜻이다.

  

정견을 갖는다면 

인생이 근본적으로 바뀔 수 있다. 

 

편견을 고치고 정견을 갖는다 해도 가난함이나 부유함에는 큰 변화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마음가짐과 행동이 바뀌어 인생에 질적인 변화가 생길 것이며, 

 

그중 가장 큰 변화는 

 

초조함이라는 부정적인 생각이 저절로 사라진다는 점이다.

     

   

  편협한 행동을 고치려면 편견을 버려야 한다. 

  올바른 행동을 하고 싶으면 올바른 관념을 

  가져야 한다. 

  관념의 질적 차이가 인생의 질적 차이를 

  만든다. 

  올바른 관념으로 부정적 생각들에서 

  벗어나라.

 

 

        초조하지 않게 사는 법 중에서



'선문禪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재의 본래모습  (0) 2020.03.09
본질을 깨우치면  (0) 2020.03.08
무명無明 업장業障  (0) 2020.03.06
수행자의 고뇌  (0) 2020.03.05
그대와 인연  (0) 202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