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도를 귀히 여겨 찾는데는
책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책은
말을 기록해 놓은 데 불과하고
말이 귀히 여기는 것은 뜻이다.
그런데 그 뜻은 추구하는 바가 있는데
그 뜻이 추구하는 바는 말로써는 전할 수가 없다.
그러나 세상사람들은
말을 귀히 여겨 책을 전한다.
세상 사람들이 비록 그것을 귀히 여기나
오히려 귀하게 여길 것이 못된다.
그들이 귀하게 여기나 그것이 귀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보아서 볼 수 있는 것은
모양과 빛이요,
들어서 들을 수 있는 것은
이름과 소리이다.
슬프다, 세상 사람들은
모양과 빛, 이름과 소리로써 저 도의 진실을 알 수가 없다.
대저 모양과 빛, 이름과 소리로써
저 도의 진실을 알 수 없다면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하는 사람이니
세상 사람들이 어찌 그것을 알까?
제환공(齊桓公)이
대청 위에서 책을 읽고 있을 때
윤편(輪扁)은 대청 아래에서 수레바퀴를 깍고 있었다.
윤편은 망치와 끌을 놓고서 제환공에게 물었다.
「대왕께서 읽으시는 것은 무슨 책입니까?」
「성인의 말씀이시니라.」
「그 성인은 지금 살아 계십니까?」
「이미 돌아 가셨느니라.」
「그렇다면 대왕께서 읽으시는 것은
옛사람의 찌꺼기입니다.」
「과인이 책을 읽는데
수레바퀴나 깍는 네놈이 무슨참견이냐?
네 변명할 구실이 있으면 좋거니와
변명을 못하면 죽이리라.」
「저는 제가 하는 일의 경험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수레바퀴를 깍을 때 느리면 헐렁해서 꼭 끼이지 못하고
빨리 깍으면 빡빡해서 들어가지 않습니다.
느리지도 않고 빠르지도 않은 것은
손에 익숙하여 마음에 응하는 것이라,
입으로는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그 사이에는 익숙한 기술이 있는 것이나
저는 그것을 제 자식에게 가르칠 수가 없고
제 자식도 그것을 저에게서 배워갈 수가 없어서
이렇게 제 나이 70이 되도록 늙게까지 수레바퀴를 깍고 있습니다.
옛날의 성인도 마찬가지로
깨달은 바를 전하지 못하고
죽었을 것입니다.
그러니 대왕께서
읽으시는 것은
옛사람의 찌꺼기 일 뿐입니다.」
'장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구속이 없으면 (0) | 2010.08.11 |
---|---|
외물에 내마음을 빼앗겨 (0) | 2010.08.05 |
옛날도 없고 지금도 없다 (0) | 2010.07.27 |
자유자재한 무심한 경지 (0) | 2010.07.12 |
만물이 생겨나기 이전의 상태 (0) | 201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