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문禪門

선지식과 무념법

 

선지식(善知識)이라 함은

 

가장 근원적인 것을 물어주는 사람이며 스스로 근본을 꿰뚫어 지시하고 보여주시는 분이라,

 

이는 어리석은 이에게 참된 질문을 물어주기 때문이다.

 

즉, 선지식이란 뒤집힌 자기 존재를 되짚어 주고 되물어 주는 분이며 스스로 물을 줄 알도록 도와 주시는 까닭에

 

참된 선지식이라 부른다.

 

물음에도 두 가지가 있는데

캄캄 절벽이라 몰라서 묻는 것은 ‘물음’이라 하고,

 

알면 알수록 명백히 알기 위해 묻는 것을 ‘질의(質疑)’라고 하는데,

 

무엇을 물었을 때 대답을 하는 자는 ‘속되다’하고, 그리하여 성인들은 대답은 하지 않고

 

오히려 되물어 주기 때문에 ‘물어주는 자’라고 해서 그들을 선지식이라고 한다.

 

 

무념법(無念法)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생각이 하나도 없는 법’이라는 말이 아니라

한 생각 일어남을 되물어 주는 까닭이며,

 

무념이 도리어 유념임을 아는 것이다.

우리가 무념이란 말에 쫓아 가서 생각을 비우려고 하면 이미 유념이 되고,

 

무념이란 말에 쫓아가지 아니하고

‘무념이 무엇인가?’라고 되물어 주는 것을 도리어 무념법을 공부하는 것이라고 한다.

 

무념법을 깨달으면 만 가지 법에 다 통하게 된다 하는데,

이는 세상 만법(萬法)이 모두 하나로 돌아간다고 할 때에

 

그 하나는

 

이미 만 가지가 아니며 이미 하나의 숫자가 아니며 다시 ‘이것이 하나다’라고 지적할 것이 없다.

 

때문에 만법이 무념이고 무념이 만법인 것이다.

 

무념이 만법이라고 한다면 어째서 우리는 세상 만법에 걸리는 것일까?

 

그것은 무념이란 것이 또 다시 유념으로 되어버리므로 스스로 속이고 속는 때문이다.

 

“겁초(劫初: 아득한 시간의 처음) 이래로 이치로는 부처 아닌 자 없으나

 

사상(事相: 현실적)으로는 성불(成佛)할 자가 없다”고 육조 스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견성하기는 쉬워도 승(僧: 스님) 노릇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경계가 나타날 때마다 생각이 일어났다 사라졌다 하기에 부처를 이룰 수 없는 까닭에 도리어 늘 “부처에 귀의하라.” 하는 것이며,

 

“부처에 귀의한다,” 함은 곧 한 생각 돌이켜 되물어 주는 일이 최우선이리라.

 

그리하여 스스로 속지만 않는다면

만 가지 법에 다 통하게 된다 하시었다.

 

육조단경으로 자성 보는 법 / 중에서

'선문禪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이 통하고 마음이 통하면  (0) 2019.08.09
무상송無相頌  (0) 2019.08.09
본 성  (0) 2019.08.07
공과 덕  (0) 2019.08.07
본래가 공적하다  (0) 2019.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