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문禪門

미묘한 이치

공(空)한 자리에서 

미묘한 이치가 드러난다

 

   

 

일념(一念)이 

 

공적하다는 것을 깨달으면 

모든 대상이 저절로 타파되니, 

의지할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데 

의지하는 주체가 어떻게 생길 수 있겠는가. 

마치 물의 근원이 다하면 강물이 마르고, 

뿌리가 시들면 잎이 떨어지는 것과 같다.

 

  

그런 까닭에 아난阿難이 

일곱 군데에서 주장을 폈지만 근거가 없었으니, 

삿된 법은 부지하기 어려움을 알 수 있고, 

 

2조二祖 혜가慧可는 

그 자리에서 마음을 찾았지만 

마음이 생겨난 적이 없었으니, 

 

공적한 도리를 이해하여야 

비로소 깨닫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사스님과 부처님의 가장 중요한 요점은 

이러한 종지를 가리킬 뿐이다.

  

 

이미 일으키는 주체로서의 마음을 얻을 수 없다면 

생겨나는 경계도 얻을 수 없으니, 

 

마음을 얻을 수 없으므로 곧 ‘내’가 사라지고, 

경계를 얻을 수 없으므로 곧 ‘법’이 사라진다. 

 

만약 인人과 법法이 함께 공적할 수 있다면 

일심一心의 미묘한 이치가 드러날 것이다.

 

 

    명추회요 중에서

 

'선문禪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없는 것을 아는 것  (0) 2020.09.13
처음부터 거기에 ‘나’는 없었다.  (0) 2020.09.12
사람을 알기 위해  (0) 2020.09.10
매일매일이 곧 창조의 새벽  (0) 2020.09.09
선근은 어떻게 심는가?  (0) 2020.09.08